어깨충돌증후군 증상 및 치료
어깨충돌증후군이란?
충돌증후군은 위팔을 80도 정도 들어 올렸을 때, 회전근개 근육과 삼각근하 점액낭이 오구변봉인대와 전방 견봉에 걸려 눌려져 발생하는 만성 염증 과정입니다.
회전근개 중 극상근, 극하근이 가장 충돌이 잘 일어나는 부위이며 이 증후군은 던지는 스포츠, 라켓을 쓰는 스포츠와 수영에서 흔히 볼 수 있으나 그 외에는 90도 이상 팔을 들어 올리는 것을 반복하는 어떤 사람에게 서도 발생할 수 있습니다.
어깨충돌증후군 원인
● 구조적인 이상 원인
- 돌림근띠 힘줄 퇴행
- 봉우리빗장관절 아래의 골증식체
- 갈고리 모양의 봉우리
- 위팔어깨관절의 과가동성>
● 과사용, 근육 불균형등 원인
- 구부정한(턱을 내민) 자세
- 근육 약화 및 근 피로
- 근육 저강동성
- 어깨관절의 뒤면의 뻣뻣함
- 봉우리 밑 공간에 염증
- 어깨관절의 유착성
어깨충돌증후군 증상

어깨 인대 자체가 특별하게 파열되거나 다친 것은 아님에도 불구하고 특정 각도 이상 팔을 들어 올리려 하면 무언가에 걸리
는 느낌과 함께 통증을 호소하는 것이 대표적인 충돌증후군의 증상입니다.
- 상완골 대결절 위의 압통
- 견봉 전방부의 압통
- 60~120도 사이 외전에서 통증이 심한 운동범위를 보이고 90도에서 저항이 증가됩니다.
- 어깨관절 운동범위가 제한되는 현상
- 팔을100도 가까이 낮추 때 걸리는 느낌이 발생
단계별 증상
1단계: 35세 이상의 나이에서 머리 위로 팔을 올리는 활동 시 간헐적이고 약한 통증
2단계: 머리 위로 팔을 올리는 활동 시나 계속적인 활동 시의 약하거나 중간 정도의 통증
3단계: 활동 또는 휴식 시 통증 / 야간통 / 어깨뼈근 이나 회전근개의 근육 약화가 나타남
어깨충돌증후군 자가진단
Neer test

- 앉은 자세에서 검사자는 손목이나 아래팔을 잡은 상태에서 팔을 강하게 어깨뼈 면에서 완전히 들어올리면서 안쪽돌
림합니다. 안쪽돌림을 하였을 때 통증이 발생한다면 충돌을 의미 합니다.
Drop arm test

- 충돌증후군의 진행으로 인해 회전근개파열을 검사하기 위해서 견관절 90도 외전 시키고 천천히 내리게 합니다.
- 회전근개 파열 시 팔을 서서히 내리지 못하거나 내리는 도중에 심한 통증을 느끼게 된다면 충돌 징후입니다.
어깨충돌증후군 치료
진통소염제, 근이완제 등의 약물치료, 물리치료 등으로 통해 통증을 완화시킵니다. 운동치료, 물리치료를 통해 운동범위 및 관절 주변의 유연성을 회복시킵니다. 통증 치료 및 재활 프로그램을 같이 시행하며 비교적 비수술적 요법으로도 많은 효과를 보고 있습니다.
재활단계에서는 통증을 감소시키고 관절운동범위를 넓히는 것을 되찾게 하는 것이 목표입니다.
드물지만 비수술적 치료에도 호전이 없는 경우 수술을 고려할 수 있습니다.
본 내용은 참고자료이며, 본인에 맞는 적절한 진단 및 치료를 위해서는 의사와 상담하시기 바랍니다. 본 콘텐츠의 저작권은 제공처에 있으며, 이를 무단 이용하는 경우 저작권법 등에 따라 법적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