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거비인대파열
전거비인대파열은 발목염좌에 의해서 발생합니다. 발목 염좌의 90%가 내반 손상으로 발목이 안쪽으로 뒤틀리면서 균형을 잃어 체중의 힘에 의해 손상이 발생합니다.
인대에 대한 외력이 늘어나면서 뼈에 부착된 부위가 일부 늘어나거나 파열되게 됩니다. 그중 복사뼈 주위의 전거비인대가 가장 약해 자주 손상을 받습니다.
발목의 손상의 경우 반복적으로 접질리는 경우 인대가 끊어지거나 만성적 불안정성으로 진행되는 경우가 많으므로 초기 치료가 중요합니다.
전거비인대파열 증상
발목 염좌의 손상 증상에 따라 세 단계로 분류됩니다.
1도 염좌는 인대섬유가 늘어났거나 미세하게 찢어진 상태를 말합니다. 약간의 통증과 약간의 부족, 관절 경직이 나타날 수 있습니다.
2도 염좌는 인대섬유가 찢어지고 분리된 상태를 말합니다.심한 통증, 부종, 관절 경직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3도 염좌는 인대가 완전히 끊어진 상태를 말합니다. 극심한 통증을 동반하고 부종도 심하고 수술적 재건이 불안정성 회복을 위해 필요합니다.
발목은 발끝이 안쪽으로 꺽이는 내반 염좌가 발생하는 경우가 많으며 복숭아뼈 주변 전거비인대파열이 가장 흔하게 나타납니다. 발뒤꿈치 종비인대가 동시에 손상되기도 하며 인대 파열 시 반상출혈, 인대가 끊어지는 파열음이 발생하기도 합니다.원인
해당 조직에 대한 순간적인 과도한 충격이 주요 원인으로 스포츠 손상 중 외상의 약 30%를 차지하는 손상입니다. 주로 야구, 농구, 축구, 테니스, 마라톤 등의 스포츠 활동과 레져스포츠 활동에서 많이 발생합니다. 일상생활 중에 고르지 못한 지면, 계단 등에서 발을 잘 못 디뎌서 발생하는 경우도 많습니다. 발의 움직임이 균형을 잃어 한쪽으로 체중이 쏠리면서 반대쪽으로 과하게 체중을 지탱하게 됩니다. 한쪽에 과부하가 걸리면서 발목 인대가 그 과부하를 못 버텨 손상을 입게 됩니다.
전거비인대파열 치료
손상정도에 따라 치료기간이 다를 수 있습니다. 보통 4~6주간의 회복 기간이 필요하며 증상에 따라 치료 방법이 달라질 수 있습니다.
- 증상이 심하지 않은 경우 자연 치유를 통해 발목 통증이 완화되기도 합니다.
- 인대 손상이 악회된는 것을 피하기 위해 보조기, 깁스 등을 착용합니다.
- 발목에 가해지는 부하를 줄여 통증 및 부종을 완화시킵니다.
- 증상에 따라 약물치료, 주사치료, 물리치료등이 시행됩니다.
- 기능 회복을 위해 운동, 재활치료가 필요할 수 있습니다.
약해진 인대는 자연적으로 강화되지 않고 쉽게 재발하여 만성화될 수 있습니다. 발목 염좌 병력이 있는 경우 발목 주변 근력을 강화시키고 유연성을 키우는 것이 필요합니다.
본 내용은 참고자료이며, 본인에 맞는 적절한 진단 및 치료를 위해서는 의사와 상담하시기 바랍니다. 본 콘텐츠의 저작권은 제공처에 있으며, 이를 무단 이용하는 경우 저작권법 등에 따라 법적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