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포츠영양 애타게답변 기다립니다
페이지 정보
본문
안녕하세요 하늘병원 원장님이신 원장님이 tv프로그램에 나오는거 보고 이렇게 질문 남깁니다
다름이 아니라 활성화 산소에 관한것인데요
http://blog.naver.com/onlylove1813/220496429995
위 링크에서 보시면 알듯이 과도한 운동후에 정리운동을 확실히 하면 활성화 산소를 줄일술 있다는
조성연 원장님의 말씀을 들었습니다
질문1: 제가 유도 ,레슬링 준프로선수 정도로 훈련 할껀데요 하루 3번 근력훈련+지구력훈련+매트훈련
이렇게 높은 강도로 훈련 하려고 하고있습니다 400m인터벌을 선수들 처럼 뛰고 또 뛰고 인터벌 안뛰는 날도 체력훈련하고
이렇게 할껀데요... 또 근력훈련 + 오후에는 매트에서 선수들과 겨루기 훈련까지..
이렇게 높은 강도로 하루 2~3차례 훈련 하려고 합니다
그렇다면 이런 훈련 강도로 훈련해도... 정리운동만 확실히 하면 활성화 산소가
나오지않아 몸이 상하지 않을까요 아니면 이렇게 높은 강도로 훈련하면 아무리 정리운동을
열심히 해도 과도한 활성산소로 인해 몸 이 상할까요
온라인 홈페이지 방문을 환영합니다.
노화를 촉진하는 활성산소에 대한 문의를 주셨군요.
운동에는 유산소 운동과 무산소 운동이 있습니다.
운동방법의 차이에 따라 몸에서 소비하거나 축적하는 요소들이 달라집니다.
운동에 의하여 발생되는 활성산소는 운동이 끝난 후에 산소공급이 일시적인 과잉공급으로 이루어질 때 축적됩니다. 블로그에
나온 결과처럼 운동후에 곧바로 쉬지 않고 천천히 마무리 운동(스트레칭)을 한다면 신체에 피해를 줄 정도의 문제는 일으키지 않습니다.
활성산소가 문제가 된다고 하는 경우는 대개 인체에서 새로 활성산소를 만드는 경우입니다. 백혈구가 염증이나 스트레스 반응에 의하여 활성산소를 만들어내는 것이 인체에 해를 끼칩니다. 즉 노화를 촉진시키는 요소 중 하나가 활성산소이고 활성산소를 촉진시키는 요소는 꼭 운동을 통해서 뿐만아니라 일상생활에 중에서 발생되는 활동과 스트레스에도 연관이 되어있습니다.
운동후에는 충분한 수면을 취하지 않으면 근육의 미세한 파열 및 젖산축적등으로 인하여 염증 및 스트레스가 발생할 수 있고, 이것이 활성산소를 새로 생산합니다. 따라서 일주일에 이틀 정도는 운동을 쉬고, 운동후에는 아주 충분한 수면을 취하는 것이 권장되고 있습니다.
결과적으로 본인에게 맞는 운동을 선택하신 후 꾸준히 실행하시는 것이 가장 좋으며 활성산소 관리 즉 노화방지를 위한 관리를 병행하시기 바랍니다.
본원에서 활성산소테스트 검사가 가능하며 상담 후 원하신다면 진행 가능합니다.
1544-7588 초진상담/예약
문의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