칼럼 상부 관절낭 이식술, 어깨 힘줄 이식술
페이지 정보
본문
![](/files/2023/04/04/48e4fec765ccb035dc5417640b7046f3154452.jpg)
어깨 회전근개 파열이 심할 경우(봉합이 불가능한 광범위 파열)에 최근 대두되고 있는 새로운 수술 방법을 소개하고자 합니다.
파열의 정도가 심하지 않을 경우는 관절경적 봉합술로 가 능하나 간과되었을 경우에는 회전근개 파열이 심해지고, 범위가 커졌을 경우에는 상부관절낭 이식술(어깨 힘줄 이 식술)이 추천됩니다.
대체적인 회전근개 파열의 코스를 보면 부분 파열로 시작 되다가 경과되면 소, 중, 대 파열로 나빠지다가 광범위 파 열로 지속되면 파열된 부위가 지방변성으로 인해 퇴축되며 빈 공간만큼 상완골의 상승으로 인해 편 마모가 진행되면 서 결국에는 회전근개 파열로 인한 어깨 관절염으로 진행 되어 고생하시는 분이 많습니다.
증상으로는 밤에 특히 심해지는 통증(야간통)과 팔을 들어 올리지 못하고 거상 시 내릴 때 팔이 뚝 떨어지는(DROP ARM SIGN)이 특징적으로 생기며 심할 경우에는 이차적 인 유착성 관절낭염(오십견)이 동반되어 통증과 심한 각도 제한의 악순환이 반복되는 증상이 지속됩니다.
상부 관절낭 이식술은 일차적으로는 통증 회복에 초점을 맞춘 수술이며
어깨 관절염으로 진행을 늦추는 근치적 수술로 이해하시면 되겠고
꽤 만족도가 높은 수술로 평가되고 있습니다.
*근치적 수술: 질환을 완전히 고치는 것을 목적으로 시행하는 수술을 말합니다.
주로 수술의 적응되는 경우는 회전근개 파열이 대파열 이 상일 경우이면서 비교적 활동적인 나이(50~70대)의 환자 분들이 대상이며 관절염은 비교적 심하지 않은 경우에 해 당되며 이전에 회전근개 봉합술을 받은 이후 다시 재파열 된 경우에도 수술의 적응이 가능합니다.
수술 전에는 다른 질환과 마찬가지로 임상적 증상을 체크 하고 이학적 검사를 실시하며 MRI 검사로 치료 계획을 확 정합니다.
관절막 재건술(Superior Capsular Reconstruction)
![](/files/2023/04/04/b8fa77d19cd3b70a4e84969adb40d5bb154509.jpg)
*극상근
상왈골이 안정적으로 유지되고 상완이 안정적으로 유지됩니다. 그리고 팔을 들어 올리는 데 도움이 됩니다.
*극하근
어깨를 회전시키고 확장시키는 주요 근육입니다.
큰 근육의 활동적인 어깨의 기능을 활성화시키고, 심각한 뼈 손상이 없는 장점이 있습니다. 인공관절이 아닌 자신의 관절을 살려 수술하는 자기관절보존 수술이므로 재활에 있 어 상대적으로 빠르게 재활치료가 가능합니다.
수술 방법을 간략히 소개하면 봉합 불가능한 회전근개 부 위에 동종진피편을 대치하여 이식하는 방법으로 진행되며 절개술이 아닌 미세 절개를 이용한 관절경으로 진행되므로 술후 회복이 빠르며 자기관절을 보존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습니다.
수술 후 기본적인 물리치료와 CPM을 이용한 관절 각도 회 복을 시키며 점차적으로 도수치료 및 충격파를 이용한 굳 은 관절의 회복 및 주변 근력의 강화가 필요합니다. 대체 적으로 수술 및 물리재활을 통해서 3개월에 정상 힘줄의 70% 강도 회복을 목표로 하고 있습니다. 기존의 회전근 개 파열이 심한 경우에는 별다른 치료의 선택지가 없었고 인공관절 수술 밖에는 방법이 없었으나 관절경적 상부 관 절낭 이식술의 등장으로 치료법에 새로운 장을 여는 계기 가 된 것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