외상후 팔꿈치의 경직
의료진 선택 가이드- 사진을 클릭하시면 약력을 보실 수 있습니다. |
![]() ![]() ![]() ![]() ![]() |
|||
|
팔꿈치의 경직은 선천적 기형, 마비성 기형, 퇴행성 관절증(arthrosis), 화상 또는 감염의 결과로 발생될 수 있지만 대부분의 경우는 외상 후 발생합니다.
보통 외상 후 팔꿈치경직의 분류는 관절 바깥, 관절 안 그리고 복합된 원인으로 분류합니다.
피부, 피부하조직
피막(뒤쪽 또는 앞쪽)
측부인대 구축
근육성(Myostatic)구축
이소골화(Heterotopic ossification,HO)
관절 변형
관절 유착
골증식체 부딪힘
섬유증 부딪힘 등
팔꿈치 안 또는 주위에 염증이 발생되는 경우에는 상황에 따라 고정치료를 하며 운동량을 증가시키기 위하여 초음파, 마사지와, 전기 자극 치료를 시행합니다.
이 후 근육약화 또는 불균형을 교정하기 위하여 근력강화운동을 시행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