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ebzine
어깨 CPM 지속성수동운동장치 CPM / Continuous Passive Motion
지속적수동운동장치(CPM)란(이하 CPM) 지속적 수동 운동 기계로, 수술 후 스스로 운동이
불가능한 환자에게 지속적인 수동운동을 통해 관절의 기능을 보다 빠르게 회복시키기 위한 재
활운동기구입니다. 대표적으로 어깨CPM과 무릎CPM이 있는데, 저희 치료실에서 사용하는
어깨 CPM에 대해 설명해드리겠습니다.

그로 인한 효과는
- 연부 조직의 강직화 감소
- 운동 범위의 조기 회복
- 관절 표면과 연부조직의 치유 촉진
- 운동을 제한하는 (상처 조직의) 유착의 진전 방해
- 수술 후의 통증 감소로 진통제 사용이 감소
- 수술 후 재활(회전근개 파열, 슬랩병변, 반카르트 병변, 충돌증후군, 재발성탈구, 동결견)
- 골절 후 유합된 환자의 재활(상완골 골절, 견갑절 골절, 빗장뼈 골절)
- 불안정한 환자의 갑작스런 탈구
- 어깨 관절의 각종 스포츠 손상
- 어깨관절염

1. 어깨 CPM이 필요한 이유
어깨 CPM은 어깨 시술 혹은 수술 후 회복을 돕기 위해 고안된 "수술 후 치료 과정" 중 하나입 니다. 어깨 수술을 한 대부분의 환자들은 움직임 시 통증이 수반되기 때문에 정상적인 생활이 어렵고 능동적인 움직임에 제한이 발생합니다. 이 제한으로 인해 수술 후 일정 시간 동안 어깨 움직임이 제대로 나타나지 않는다면 주변 조직이 경직되어 운동 범위에 제한이 생길 수 있습니 다. 따라서 회복까지 여러 달의 물리치료가 필요합니다.2. 어깨 CPM의 기능과 효과
CPM은 수술 후 초기에 사용함으로써, 상실된 관절 움직임의 회복 기간을 현저히 단축시키고, 근육의 사용을 최대한 제한시켜 관절의 움직임을 도와줍니다.그로 인한 효과는
- 연부 조직의 강직화 감소
- 운동 범위의 조기 회복
- 관절 표면과 연부조직의 치유 촉진
- 운동을 제한하는 (상처 조직의) 유착의 진전 방해
- 수술 후의 통증 감소로 진통제 사용이 감소
3. 어깨 CPM의 적용범위
- 어깨 관절 강직이 있는 환자- 수술 후 재활(회전근개 파열, 슬랩병변, 반카르트 병변, 충돌증후군, 재발성탈구, 동결견)
- 골절 후 유합된 환자의 재활(상완골 골절, 견갑절 골절, 빗장뼈 골절)
- 불안정한 환자의 갑작스런 탈구
- 어깨 관절의 각종 스포츠 손상
- 어깨관절염





Webzine구독신청
[건강정보] 무릎관절염과 운동
[웹진 2021년 6월]
우리의 몸은 무한히 쓸 수 있는 자원이 아니기 때문에, 시간이 지나면 나이만 먹는 것이 아니라 신
체의 각 조직에도 노화가 찾아옵니다. 뛰고 걷고 움직이느라 많이 사용한 무릎 관절에 찾아온 관절
염은 완치가 아닌 평생 관리가 필요한 질환입니다. 무릎에 무리가 되는 ...
[칼럼] 병기에 따른 무릎 관절의 수술 치료 방법
[웹진 2021년 6월]
세월의 흐름은 거스를 수 없고 세월의 흐름에 따른 노화 현상 또한 막을 수 없습니다. 수명이
늘어남과 함께 오래 써서 생기는 소모성 부품과 같은 인간 관절의 퇴행성 변화로 생기는 문제
는 오히려 늘어가고 있습니다.
반면에 의학의 발전과 함께 줄기세포에 관한 연구가...
[지난호보기] 2021년 5월호
[웹진 2021년 5월]
[지난호보기] 2021년 4월호
[웹진 2021년 4월]
[칼럼] 콜라겐 주사를 이용한 근골격계 질환의 치료
[웹진 2021년 5월]
콜라겐 물질의 역사
콜라겐은 그리스어로 접착제(gum)라는 뜻의 'kola', 생산(producing)이라는 뜻의
'gen' 의 의미를 지닌다고 한다. 1881년 양의 소장에서 유래된 창자실(catgut)로
처음 사용되었다. William Macewen 과 Jo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