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ebzine
종아리 통증(근육 손상) 테니스 레그

■ 원인 및 증상
운동 시나 일상생활에서 갑자기 뛰는 경우 등의 상황에서 과도한 동작으로 인해 종아리의 근육, 즉 비복근이나 가자미근에 부분 파열이나 근건 결합 부위가 일부 찢어지면서 발생합 니다.종아리 근육이 파열되면 종아리에서 「뚝」하는 소리가 나는 것을 느낄 수 있습니다. 종아리 근육이 손상이 되면 종아리 위쪽의 내측에 주로 통증이 생깁니다. 비복근은 안쪽 갈래와 바 깥쪽 갈래로 갈라져 있는데, 주로 안쪽 갈래에서 통증이 생깁니다. 통증이 심해서 걷기도 힘 들고, 체중을 실어 앞으로 나아갈 수 없는 경우가 많습니다.
종아리에 쥐가 나는 것은 다른가요?
흔히 쥐가 났다고 하는 증상은 근육의 급성 경련을 말합니다. 주로 운동 중에 발생하지만 운동 후 휴식 시에도 발생하는 경우도 있습니다. 근육의 급성 경련은 종아리에서 가장 흔히 발생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 발생 후 적절한 스트레칭만으로도 통증이 사라집니다. 하 지만 「테니스 레그」는 실제 근육이 파열되거나 근건 경계부에 손상이 발생함으로 정도에 따 라 다르지만 증상이 꽤 오랫동안 지속되고 붓거나 피하 출혈도 보이기도 합니다.진단
이학적 검사 및 영상의학적 검사( 초음파검사, MRI 검사 )로 진단합니다.치료
「테니스 레그」의 초기치료는 우선 붓기를 빼고 추가적인 손상을 막기 위해 활동을 멈추고 얼음찜질을 해야 합니다. 근육의 손상이 심한 경우는 1-2주 동안 깁스 등으로 고정을 합니 다. 근육의 손상이 심할 경우는 회복기간이 1~2주 정도 더 걸릴 수 있습니다. 증식치료(프 롤로 치료) 및 도수치료도 도움이 됩니다.또한 근육 파열이 심해 파열 부위가 만져지거나 완전 파열이 되어 발목이 구부릴 수 없는 심한 경우에는 수술적인 치료까지 시행할 수도 있습니다. 회복한 이후에는 근육이 많이 약 해져 있으므로 근육강화 운동을 통해 반대측 근력과 비슷한 정도를 회복한 후에 이전과 같이 운동을 할 수 있습니다.

예방
「테니스 레그」를 예방하기 위해 가장 중요한 것은 무리한 운동을 하지 않는 것이다. 또한 운동 전 스트레칭 및 준비운동을 충분히 해주어 신체가 적응할 수 있는 시간을 주고, 운동 후 사용된 근육들을 풀어주는데 충분한 시간을 갖는 것이 근육을 건강하게 유지하고 부상 을 방지하는 방법입니다.
![]() |
|





Webzine구독신청
[건강정보] 무릎관절염과 운동
[웹진 2021년 6월]
우리의 몸은 무한히 쓸 수 있는 자원이 아니기 때문에, 시간이 지나면 나이만 먹는 것이 아니라 신
체의 각 조직에도 노화가 찾아옵니다. 뛰고 걷고 움직이느라 많이 사용한 무릎 관절에 찾아온 관절
염은 완치가 아닌 평생 관리가 필요한 질환입니다. 무릎에 무리가 되는 ...
[칼럼] 병기에 따른 무릎 관절의 수술 치료 방법
[웹진 2021년 6월]
세월의 흐름은 거스를 수 없고 세월의 흐름에 따른 노화 현상 또한 막을 수 없습니다. 수명이
늘어남과 함께 오래 써서 생기는 소모성 부품과 같은 인간 관절의 퇴행성 변화로 생기는 문제
는 오히려 늘어가고 있습니다.
반면에 의학의 발전과 함께 줄기세포에 관한 연구가...
[지난호보기] 2021년 5월호
[웹진 2021년 5월]
[지난호보기] 2021년 4월호
[웹진 2021년 4월]
[칼럼] 콜라겐 주사를 이용한 근골격계 질환의 치료
[웹진 2021년 5월]
콜라겐 물질의 역사
콜라겐은 그리스어로 접착제(gum)라는 뜻의 'kola', 생산(producing)이라는 뜻의
'gen' 의 의미를 지닌다고 한다. 1881년 양의 소장에서 유래된 창자실(catgut)로
처음 사용되었다. William Macewen 과 Jo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