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ebzine
아킬레스건염
1. 아킬레스 건염 이란?
- 아킬레스 건염이란 발목 뒤쪽 장딴지와 발뒤꿈치를 연결해 주는 힘줄 아킬레스건에 염증이 생겨 통증 이 생기는 경우를 말합니다. 운동을 잘 안 하던 사람이 무리하게 운동했을 경우 갑자기 발생하는 급 성 아킬레스건염과, 이전부터 꾸준한 스트레스를 받아 발생하는 만성 아킬레스 건염으로 나뉘어지며 만성 아킬레스 건염의 경우에는 15% 정도가 아킬레스 파열로 이어져 주의해야 한다고 합니다.2. 아킬레스건염의 발생원인
- 급성 아킬레스건염의 발생 원인으로는 아킬레스건을 감싼 막에 염증이 생긴 경우로 감당하기 어려운 강한 운동을 하거나 근육의 스트레칭이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아 심한 무리가 갔을 때 발생합니다.- 만성 아킬레스건염의 발생 원인으로는 아킬레스건 자체에 염증이 생긴 경우로 오래달리기, 등산과 같이 발뒤꿈치에 자주 스트레스를 받는 운동에서도 발생하지만 배드민턴과 같이 강하게 점프하고 착지를 해야 하는 운동이나 잦은 방향 전환을 해야 하는 운동에서도 아킬레스건에 큰 무리를 주기 때문에 많이 발생합니다.
- 그 외에도 근력과 유연성이 감소되는 중년, 비만인 경우에도 아킬레스건에 가해지는 힘이 증가하기 때문에 발생 확률이 올라갑니다.
3. 아킬레스 건염의 증상
- 뒤꿈치가 들어올려질 때 통증- 발목이 발등으로 젖혀지면서 아킬레스건이 스트레칭 될 때 통증
- 걷거나 점프 후 착지할 때 발뒤꿈치에 충격이 가해질 경우 통증
4. 아킬레스건 염증과 파열의 구분 방법 및 진단
- 아킬레스건 부위가 두꺼워져 있고, 이곳을 누르면 통증이 발생하며 한발로 서서 뒤꿈치를 들거나 할 때 통증이 발생합니다.- 그 외에도 초음파, MRI 등의 검사로도 아킬레스건의 변화를 확인하여 진단 가능합니다.
- 아킬레스 건염의 15%정도는 파열로 진행되는데 이때 구분을 위해서는 Thompson test를 진행합니다.

- 검사자는 엎드려서 발을 바깥에 걸친 환자의 종아 리를 쥐어짜주는데 이때 발목이 저측 굴곡
(까치발 자세)이 안된다면 아킬레스건의 파열을 의 미 합니다.(저측 굴곡 된다면 파열이 아닌 염증일 확률이 높습니다.)

5. 아킬레스 건염의 치료 방법
- 초기에는 운동을 쉬고 염증과 통증 조절을 위해 소염제를 복용하며 냉찜질 및 마사지를 시행해주며 통증이 심한 초기의 경우에는 깁스나 테이핑과 같은 고정 방법을 추가적으로도 사용할 수 있습니다.- 통증 조절을 위한 충격파치료와 물리치료, 스트레칭을 포함한 운동치료로 회복을 촉진할 수 있습니다.
6. 아킬레스 건염의 예방법 및 스트레칭 방법
- 무리한 운동을 삼가며 운동 강도는 점진적으로 늘려나가고 운동 시작 전후로 아킬레스건의 충분한 스트레칭 을 실시해 줍니다.<<스트레칭 방법>>

: 벽을 보고 서서 양손으로 벽을 짚고 아픈 쪽 발을 뒤로 뺍니다. 이 상태에서 앞측 무릎을 구부 려 뒤쪽 다리의 아킬레스건이 당겨지도록 스트레칭을 진행해 줍니다.





Webzine구독신청
[칼럼] 요통
[웹진 2022년 1월]
요통의 원인
척추부정렬, 추간판 탈출, 인대손상, 근력약화, 갑작스럽고 무리한 노동이나 운동, 염좌 등이 요통의 원인입니
다. 평소에는 증상을 느끼지 못하고 지내는 경우가 많으나, 척추의 보상 한계를 넘으면 통증으로 나타나게 됩
니다.
올바른 자세
올바른 ...
[칼럼] 손목 통증 및 손 저림 증상을 보이는 손목터널증후군
[웹진 2022년 1월]
‘약 1년에 걸쳐 손저림이 조 조금씩 악화되었고, 근래에는 자다가도 간혹 깨서 내원한 60대 주부’
‘콩쿨 준비로 하루에 10시간 이상 연습을 하다 최근 1주일 사이에 견딜 수 없는 손저림이 생겨
울먹이며 내원한 20대 바이올리니스트’
손 저림은 대부분 한 번...
[칼럼] 허벅지 통증 : 햄스트링 파열 치료 및 예방 운동
[웹진 2021년 12월]
햄스트링의 손상은 순간적인 달리기나 전력 질주 등을 하는 육상 선수들과 같은 순간 스피드를 내야
하는 운동선수들에서 발생하는 흔한 질환입니다. 힘줄에 햄스트링 긴장이 발생하여 근육의 피로에 의
해 유연성이 저하되거나 허벅지 근육의 밸런스가 무너질 때 발생하게 됩니다...
[칼럼] 무릎 앞쪽 통증 원인 슬개건병증 증상 및 치료
[웹진 2021년 12월]
슬개건병증은 농구, 배구, 높이뛰기, 멀리뛰기 등과 같이 점프가 필수적인 운
동에서 빈번히 발생하기 때문에, jumper’s knee 라고도 불렸는데, 점프 외에
도 방향 전환이 필수적인 운동에서도 쉽게 볼 수 있습니다. 이 질환은 염증성
건염이라기 보다는 건의 ...
[지난호보기] 2021년 11월호
[웹진 2021년 11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