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ebzine
무릎관절염과 운동

[피해야 하는 운동]
무릎에 체중 부하가 많이 실리거나 격한 운동은 피하는 것이 좋습니다. 계단을 오를 때도 무릎에 체중의 6배의 하중이 실리기 때문에 관절염을 악화시킬 수 있습니다.1. 등산
2. 축구, 족구, 농구, 테니스, 탁구, 배드민턴 등 격한 움직임이 있는 스포츠
3. 스쿼트/런지 동작
4. 스탭퍼/계단 운동

[피해야 하는 생활 습관]
양반다리와 같은 자세는 무릎을 바깥쪽으로 꺾게 되어 무릎에 많은 하중이 실리게 됩니다. 마찬가 지로 장시간 같은 각도로 무릎을 굽히고 앉아있거나 쪼그려 앉는 것과 같은 습관도 피해야 합니다.[무릎 관절염 관리]
1. 체중 감량 : 무릎에 실리는 부하를 줄일 수 있습니다.2. 통증이 있을 때는 냉찜질
3. 계단을 오를 때는 안 아픈 쪽을 먼저 딛고 오르고, 내려갈 때는 아픈 쪽을 먼저 딛습니다.
4. 권장운동
① 수영, 아쿠아로빅
② 실내 자전거(안장은 높이고 저항은 가볍게 합니다)
③ 평지 보행(증상에 따라 가벼운 조깅까지 가능)

④ 무릎 기지개 펴기 운동(무릎을 굽혔다 펴는 것. 10초에 10회 반복. 상태와 증상에 따라 횟수 조절)
- 운동 중 통증이 있을 때는 참치 말고 중단하는 것이 좋습니다.
- 운동 이후 통증이 1시간 이상 지속되는 경우 강도를 조절해야 합니다.
- 운동의 강도는 상태에 따라 점진적으로 증량하고, 1주일 이내 갑작스러운 증량을 하지 않도록 합니다.





Webzine구독신청
[칼럼] 엉덩이 기억상실증
1. 엉덩이 기억상실증 / 증후군?
생소한 질환인 엉덩이 기억상실증!! 장시간 동
안 앉아서 생활하는 습관으로 인해 힘을 주는
방법을 잊어버리고 약해지는 증상인데요. 그
결과 엉덩이 부위 대신 다리의 뒷부분이 그 기
능을 대신하게 되어 요추, 고관절, 슬개골 ...
[칼럼] 급성/만성 통풍의 진단 및 치료
[웹진 2022년 5월]
이제 우리 사회도 위드 코로나의 사회 분위기로 가고 있습니다. 거리 두기 등 생활의 제한 요소도 갈수
록 해제되어가고 있고 직장인들은 재택근무가 줄어들고, 갈수록 과거의 직장 분위기로 돌아가는 분위
기입니다. 그렇다 보니 회식 자리도, 술과 기름진 음식을 접하는 기...
[지난호보기] 2022년 3월호
[웹진 2022년 3월]
[칼럼] 부정렬 증후군, 골반 틀어짐 교정
[웹진 2022년 4월]
양반다리 못하시는 분들,
한발로 서 있기 못하시는 분들 꼭 읽어 보세요 !!
안녕하세요 하늘병원 동작교정치료실 김광성 실장입니다.
하늘병원에 내원하시는 환자분들 중에 "바지가 돌아가요. 한쪽 다리가 짧은 것 같아요." 라고 말씀하시는 분들이 많으신
데요. 이...
[칼럼] 신경성형술(풍성확장술) vs 신경차단술
[웹진 2021년 4월]
목, 허리 질환이 있을 때 상태에 따라 물리치료, 도수치료, 약물치료, 주사치료 등 여러 보존적인 치
료를 시행합니다. 꾸준한 치료에도 증상이 지속되거나, 보존적 치료로 극심한 통증을 조절하기 어렵
다면 시술을 선택해 볼 수 있습니다.
먼저 시술과 수술의 차이...
[칼럼] 무지외반증 원인 및 치료, 수술
[웹진 2022년 4월]
무지외반증은 여러 가지 선천적 혹은 후천적인 요인에 의해 제1중족족지(엄지발가락) 관절이 외측으로 돌출되고
돌출된 제1 중족골(metatarsal bone) 두의 내측 비대를 일으켜 통증 및 기타 족지의 변형을 일으키
는 질환입니다.
단일한 원인에 의해 발생한...